안성 칠장사 대웅전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In 문화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399-18 소재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4호 칠장사 대웅전이 2019년 8월 29일자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2036호로 승격된다.

이로써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4호 칠장사에는 국보 제296호 칠장사오불회괘불탱을 비롯하여 보물 제488호 안성칠장사혜소국사비, 보물 제983호 안성봉업사지석조여래입상, 보물 제1256호 칠장사삼불회괘불탱, 보물 제1627호 인목왕후어필칠언시 등 국가지정문화재 6건,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호 칠장사 당간을 비롯하여 도지정문화재 6건을 소장하게 되었다.

「안성 칠장사 대웅전」은 1790년(정조 14년) 중창되고, 1828년(순조 28년) 이건된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집이다. 화려한 다포식 공포를 전면과 후면에 두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교세가 위축되어 있던 조선 후기 경기도권 불전 건축의 전형적인 모습을 볼 수 있는 점에서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칠장사는 고려 초 혜소국사(慧炤國師)에 의해 크게 중창된 이래 17세기 초에는 인목대비가 정쟁에 휘말려 희생된 아버지 김제남(金悌男)과 아들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위한 원당으로 삼고 사찰을 크게 중수하였다. 이에 따라 칠장사 대웅전 은 전면의 석축과 계단, 초석 등에서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는 수준 높은 석공작의 기법을 엿볼 수 있는 등 유서 깊은 사찰 건축의 전통을 간직하고 있다.

대웅전 내부에는 1685년 만들어진 목조석가삼존불좌상(경기 유형 제213호)이 모셔져 있고, 1628년 그려진 칠장사오불회괘불탱(국보 제296호), 1710년에 그려진 칠장사삼불회괘불탱(보물 제1256호) 등 소중한 문화유산이 다수 소장되어 있다.

칠장사 대웅전이 보물로 지정됨에 따라 안성시 국가지정문화재는 17건에서 18건으로 1건 증가되었다.

You may also read!

삼성전자, 평택시 통복천 ‘참여의숲’서 지속 가능 녹색도시 조성에 앞장서

삼성전자, 평택시 통복천 ‘참여의숲’서 지속 가능 녹색도시 조성에 앞장서 평택시(시장 정장선)와 삼성전자는 지난 10일 통복천 ‘참여의숲’에서 ‘도시숲 조성 및

Read More...

천안시, 겨울철 앞두고 대설, 한파 등 자연재난 대비 강화

– 내년 3월 15일까지 겨울철 자연재해 대책 기간 운영 천안시는 본격적인 겨울철을 앞두고 대설, 한파 등 자연재난 대응 태세를

Read More...

용인특례시 검도팀, 전국대회서 금메달 3개 획득 쾌거

– 제3회 대한검도회장기 전국실업검도대회 5인조 단체전, 통합개인전, 6단부 개인전 석권 –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는 직장운동경기부 검도팀이 ‘제3회 대한검도회장기 전국실업검도대회’에서

Read More...

Leave a reply:

Mobile Sliding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