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평택복지재단『복지공감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시민복지욕구 정책제언

In 대구, 칼럼

(재)평택복지재단(김홍규 이사장)은 지역복지에 관심있는 평택시민들을 대상으로 생활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생활속 복지공감아이디어 공모 발표회를 통해 현장복지와 공공복지시책 수립의 기초가 되는 시민복지욕구를 제언하였다.

 

○ (재)평택복지재단(김홍규 이사장)은 복지공감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지역 특성을 고려한 분야별(영유아 및 임산부, 아동·청소년, 장애인, 노인, 여성·다문화, 저소득 및 고용, 기타분야복지)복지 아이디어와 더불어 잘사는 평택을 만들기 위한 독창적인 내용의 지역복지 아이디어를 올해 3월부터 9월까지 공모하였다.

 

○ 복지공감아이디어는 일반시민, 학생, 복지기관종사자 등이 참여하여 총 113건이 접수되었으며, 우수제언 결과는 1·2차 공공 및 전문가심사를 거쳐 12월 1일(목) 팽성복지타운 2층 소강당에서 발표회를 가졌다.

 

○ 선정된 아이디어를 살펴보면, 최우수작은 지역내 거주하는 소외계층의 집을 방문해 고장난 전자제품을 수리하여 생활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도와줘요! 맥가이버”(평택대학교 임영택학생), 우수작은 가정환경이 어려운 사춘기의 여성 청소년들에게 청결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면 생리대】를 지급하는 아이템으로 “저소득층 사춘기의 여성 청소년들 면 생리대 지급”(직장인 안선경)이 수상하였다.

 

○ 또한, 장려작은 지역 내 워킹도로와 자전거도로 사이의 부족한 쉼터를 위한 벤치나 의자를 제공할 때 동전기부모금을 위한 모금벤치를 설치하는 “chair for good!”(복지시설종사자 김 준), 맞벌이 부부증가로 식사를 혼자하는 아동・청소년 및 어르신들끼리 한 달에 1회씩이라도 동일계층끼리 함께 한끼 식사를 하는 “혼자 밥먹지 말고 오늘은 같이 식사해요!’”(주부 강수지) 등 2명이 수상하여 총 4건의 생활복지 우수아이디어가 선정되었다.

 

○ (재)평택복지재단 서준호 정책지원실장은 “시민들이 참여하는 복지공감아이디어 우수공모 내용을 통해 공공 복지시책의 기초자료와 복지현장의 사업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공유하고자 한다.” 며 우수 아이디어들이 실제 사용가능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지속적인 소통을 강조하였다.

복지공감아이디어의 상세내용은 평택복지재단 밴드를 통해 공유하고 있으며, 정책지원실(031 – 650 -2608)로 자료를 문의하면 된다.

You may also read!

평택시, 이충 골목형상점가 문화축제 개최

평택시, 이충 골목형상점가 문화축제 개최 공모사업 통해 골목상권 활성화 추진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지난 21일 이충동에 있는 이충 골목형상점가에서 다채로운

Read More...

용인특례시, 고액 체납자 가택수색으로 1억여원 징수

용인특례시, 고액 체납자 가택수색으로 1억여원 징수 – 9일부터 2주간 고가 주택 거주자 대상으로 강도 높은 징수 활동… 현금다발 5000만원,

Read More...

안성시, 2025년 상반기 농어민 기회소득 55억 원 지급

안성시는 관내 농업인 15,932명에게 2025년 상반기 농어민 기회소득 총 55억 2190만 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농어민 기회소득은 농어민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를 보상하기 위한 정책으로, 기존 농민기본소득 지원을 확대해 올해부터 본격 시행 중이다. 이번 상반기에는 만 50세 미만 청년 농어민, 5년 이내 귀농어민, 농어업 관련 인증서를 취득한 환경 농어민 1,299명에게 최대 90만 원을, 일반 농어민 14,633명에게는 최대 3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했다. 해당 지역화폐는 지급일로부터 180일 이내에 관내 소상공인 점포와 농축협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반기에 신청하지 못한 농어민은 오는 9월 15일부터 10월 17일까지 추가 신청할 수 있으며, 요건을 충족하면 상반기분도 소급 지급받을 수 있다. 이미 상반기에 지급받은 농어민은 별도 신청 없이 하반기에도 자동 지급되며, 12월 중 1인당 30만 원에서 최대 90만 원까지 지급될 예정이다. 손승수 안성시 농업정책과장은 “기회소득은 농어민의 안정적인 생계 기반 마련은 물론, 농촌 인구 유입과 지역경제 회복에도 긍정적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세한 사항은 안성시청 농업정책과(031-678-2528)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오경섭 기자

Read More...

Mobile Sliding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