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시발지 표지석 제막

In 광주, 칼럼

안동시(시장 권영세)는 12월 22일(목) 오후 4시 낙동강과 반변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낙동공원을 조성하고 이곳이 ‘낙동강의 시발지’임을 알리는 표지석을 세우고 제막한다고 밝혔다.

안동의 역사는 BC 57년 염상도사가 창령국을 세우면서 시작됐으며, 이후 고타야, 화산, 고창 등으로 불리다가 고려 태조 13년(930년)에 와서 처음으로 안동이란 지명을 갖게 됐다.

또, 고려 경종 5년(980년)에는 안동부(安東府)를 영가군(永嘉郡)으로 이름을 고쳤는데, 영가라 할 때 영(永)은 ‘이수(二水)의 합자이며 가(嘉)는 아름답다’는 뜻으로 낙동강과 반변천이 합쳐지는 지세가 아름답다는 의미를 반영한 이름이다.

낙동강은 물산과 인물이 교류했던 곳으로 남쪽으로부터 어류와 소금을 실은 거룻배가 강을 거슬러 안동을 지나 예안까지 이르러서 싣고 온 물건을 팔고, 내려갈 때는 우리 고장에서 생산하는 많은 물건을 싣고 가는 교역의 중심 역할을 한 역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곳이다.

이에 표지석을 세워 안동의 지명유래를 밝히고, 향토지인 ‘영가지’의 기록과 국토부의 ‘낙동강 종합개발계획’ 보고서의 낙동강 시발지는 낙강과 반변천이 합류되는 이곳에서 비롯된다는 기록을 바탕으로 낙강과 반변천이 합류되는 이곳이 ‘낙동강의 시발지’임을 밝혀 시민들과 그 참된 의미를 공유하고자 건립됐다.

 

▶ 낙동강 시발지 표지석 비문

 

   이곳은 태백 황지에서 발원한 낙강洛江과 영양 일월산에서 시작된 동강東江(반변천半邊川) 두 물길이 합류하여 낙동강의 본류를 이루는 곳으로 예부터 영가永嘉라 부를 만큼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곳이다.

낙동강洛東江은 물길이 흐르는 곳이자 역사가 흐르고, 문화가 흐르며, 우리의 삶이 흐르는 젖줄이다. 이에 유구한 안동의 역사와 함께 한 상징적 의미를 되새겨 이곳이 낙동강 본류의 시발지임을 전한다.

안동 신명석 기자

You may also read!

용인특례시, 청년 응원하는 ‘용인 청년 페스티벌’ 열어

  – 팀대항전 등 프로그램 청년들이 직접 기획… 이상일 시장 “반도체 최고도시 용인에 좋은 일자리가 많이 생길 터, 청년들이

Read More...

안성시, 2023년 법제 및 송무 실무교육 실시

법을 알아야 길을 찾는다! – 실무 중심 강의로 송무 및 법제 업무에 대한 이해도 높여 – 안성시는 시 소속 공무원의 소송 및 법제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하여 지난 26일 안성시청 대회의실에서 공무원 50여 명을 대상으로 법제 및 송무 실무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다변화된 행정수요에 따른 소송의 증가와 자치입법 활동의 활성화 로 업무 담당자의 전문성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담당자로서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 중요사항들을 공유하기 위하여 실시됐다. 교육은 담당부서 주무관 2명이 직접 진행했으며 법령안 편집기 사용법, 소송・행정심판 등의 업무 수행 방법 등 업무 처리에 필요한 절차와 방법 등을 업무 담당자의 입장에서 알기 쉽게 일대일 맞춤형 눈높이 교육으로 실시하여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황영주 감사법무담당관은 “이번 교육을 통해 법제 및 송무 업무 담당 공무원들의 업무 처리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앞으로도 시민들에게 보다 나은 법무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문가를 통한 교육과 함께 실무교육도 정기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오경섭 기자

Read More...

종잣돈 코칭 받아 경제적 독립하자… 영등포구, 사회복무요원 대상 금융교육 실시

– 9. 21. 영등포 오랑에서 사회복무요원 10명 대상 맞춤형 금융교육 실시 – 자본주의 역사, 금융 상품, 예·적금 차이 등

Read More...

Mobile Sliding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