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무형문화재 평택농악 제32회 정기발표 공개행사 “파일난장굿”

In 문화

국가무형문화재 평택농악 제32회 정기발표 공개행사 파일난장굿이 오는 5월 13일 일요일 평택시청 앞 광장에서 열린다.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는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28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적 의무사항으로,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및 보유단체는 매년 1회 이상 공개행사를 개최하여 국민에게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당시의 연행을 중심으로 한 전 과정 실연을 공개함으로써 국가무형문화재의 보존전승 및 저변확대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32회 평택농악 정기발표 공개행사는 평택농악의 원형 재현 및 악기·복색 재현 공연, 국가무형문화재 은율탈춤 초청공연, 평택농악 시민동호회의 길놀이와 평택농악 체험, 사진전시 등 다양한 부대행사를 준비하여 모든 연령대의 국민이 더욱 즐겁게 국가무형문화재 공연을 향유 할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

특별히 이번 공개행사에는 평택농악의 악기·복색 재현 시도를 통해 반북과 긴흑포를 제작하고 오랫동안 연행되지 못했던 가새발림진을 복원하는 등 잊혀진 평택농악의 연행을 되살려보는 뜻깊은 시간도 마련되어있어 더욱 알차고 풍성한 평택농악의 정기발표 공개행사가 기대된다.

본 행사 관련 자세한 사항은 평택농악보존회로 문의할 수 있다.

– 문 의 : 전 화 (031)691-0237
팩 스 (031) 691-9437
이 메 일 ptna0237@hanmail.net
홈페이지 www.ptnongak.or.kr (검색창에 웃다리 평택농악)

You may also read!

용인특례시, 책 많이 읽는 도시 ‘압도적 1위’

– 2022년 경기도 공공도서관 통계서…도내 309곳 중 수지도서관이 최고 – 경기도에서 책을 가장 많이 읽는 도시로 용인특례시가 압도적 1위를

Read More...

안성시, 국가첨단전략산업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총력

– K-반도체 벨트 중심・교통접근성・인재 양성 등 반도체 산업 최적 도시- – 용인 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 연계해 시너지 창출- 안성시가 미래 먹거리 창출의 일환으로 국가첨단전략산업(반도체) 특화단지 지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미래첨단산업 발전 및 특화산업 육성을 위해 ▶국가산업단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소부장 특화단지 등으로 나눠 공모사업을 추진 중이다. 시는 지난달 27일,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모사업에 신청서를 제출한 가운데 반도체 육성 자문단 구성과 국회 토론회, 기업인간담회 등을 개최하며 반도체 산업 유치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특화단지 공모사업은 국가첨단전략산업법에 따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3개 분야로 나눠 특화단지 지정 및 각종 지원 등이 이뤄지며, 오는 상반기 중으로 선정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지난 15일에는 특화단지 공모사업과는 별개로, 국가산업단지 조성과 관련된 추진계획 및 후보지 선정 결과가 발표되며 안성시 반도체 산업 육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신규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된 용인 남사읍 시스템반도체 단지는 안성과 바로 인접한 지역으로, 시는 반도체 소부장의 안정적인 공급과 동반성장 등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안성은 K-반도체 벨트의 중심에 위치해 용인과 판교, 화성, 평택 등 인근 반도체 대단지와의 산업 연대가 수월하고 경부고속도로 등 주요 도로 및 향후 조성 예정인 철도망을 통한 사통팔달 입지 여건을 보유했다. 여기에 수도권 성장관리 지역으로 공장 입지에 최적화됐으며, 반도체 관련 지역대학과의 연계로 기술개발 및 전문화된 인재 양성이 가능한 강점을 지녔다. 시 관계자는“안성의 차별화된 전략과 경쟁력을 토대로 반도체 특화단지 선정에 앞장서는 한편, 반도체 소부장 산업 육성과 인력양성센터 조성을 가속화 하는 등 반도체 허브 도시로 입지를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오경섭 기자

Read More...

영등포구 대림1동,‘청장년 1인 가구 지원’에 앞장…대림동새마을금고와 1,200만원 지원 MOU

– 대림동새마을금고와 ‘대림1동 드림 브릿지’ 업무 협약 체결, 1,200만 원 지원 –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청장년 1인 가구 120여 명에게

Read More...

Mobile Sliding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