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아르바이트 평균시급 ‘5,890원’…전년동분기대비 347원 상승

In 미분류

지역별시급…서울 전체평균 5,890원, 전국보다 223원↑, 강남권역 > 강북권역
– 모집업종…‘음식점’ 16.9% 최다, 편의점 > 패스트푸드 > 일반주점 > 커피전문점 順
– 지역별 채용공고수… 강남구 1위, 강남 3구 전체의 1/3 차지, 도봉구가 가장 적어

서울서울시 15세 이상 아르바이트 종사자의 전체 평균시급은 5,890원으로 조사됐고, 25개 자치구 중 평균시급이 가장 높은 곳은 ‘강남구’(6,148원), 가장 낮은 곳은 ‘도봉구’(5,672원)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채용하는 업종은 ‘음식점’과 ‘편의점’인 것으로 분석됐다.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천국(대표 최인녕 www.alba.co.kr)이 서울시 25개 자치구 아르바이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 한국노동사회연구소와 함께 2014년 상반기에 등록된 채용공고 69만 942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밝혔다.

서울시의 전체 평균시급은 ‘5,890원’으로 전년동분기(5,543원)대비 347원 상승했으며, 이는 전국평균인 5,667원보다 223원 높고, 올해 최저임금인 5,210원보다 680원 높은 결과다.

이처럼 평균시급이 상승한 이유는 올해 최저임금이 지난해(4,860원)보다 350원이 오른 5,210원이 되면서 그 상승분이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평균시급을 25개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강남구’가 6,148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동대문구 6,085원, 종로구 6,067원, 양천구 5,991원, 영등포구 5,990원 순이었다.

또 강남권역(11개 자치구) 평균시급이 5,910원으로 강북권역(14개 자치구)의 평균시급 5,874원보다 36원 높았다. 강남·송파·서초 이른바 ‘강남 3구’의 평균시급은 6,012원으로 타 강남권역 평균보다 102원, 강북권역과는 138원이나 차이를 나타내며 작년에 이어 올해도 가장 시급이 센 지역으로 기록됐다.

서울지역 내 가장 아르바이트를 많이 채용하는 지역 역시 ‘강남구’가 10만 4,377건으로 전체의 15.1%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고, ‘서초구’가 5만 3,145건(7.7%)으로 2위, ‘송파구’가 4만 3,363건(6.3%)로 3위를 차지했다.

특히 강남·송파·서초 ‘강남 3구’의 경우, 지난해 상반기 25.5%에서 하반기 26.7%로 증가세를 보인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전체의 1/3(29.1%) 수준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는 등 갈수록 강남지역에 아르바이트 일자리가 편중되고 있는 현상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작년 하반기 6위였던 ‘중구’(4만 238건, 5.8%)가 4위에, 7위였던 ‘종로구’(3만 9,184건)가 5위에 올랐고, 4~5위였던 마포구와 영등포구는 각각 6위와 7위로 밀려났다.

반면 채용공고수가 가장 적은 곳은 ‘도봉구’로 8,139건(1.2%)에 그치며 강남구의 1/10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가장 많은 채용공고를 올린 상위 20개 업종만을 살펴보면, 1위는 ‘음식점’으로 6개월 간 총 9만8,335건(16.9%)의 공고가 올라왔다. 다음으로 2위는 편의점(7만 7,735건, 13.3%), 3위는 패스트푸드(6만 7,136건, 11.5%)로 조사됐다.

이어 일반주점·호프(5만 6529건, 9.7%), 커피전문점(4만 7,537건, 8.1%), PC방(3만 9,728건, 6.8%), 카페(2만 9,234건, 5%), 레스토랑(2만 8,012건, 4.8%) 순이었다.

채용공고수 상위 20개 업종의 평균시급을 살펴보면, ‘영업·마케팅’이 7,895원으로 가장 높았고, ‘고객상담’이 7,373원으로 2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배달(6,474원), 전단배포(6,229원), 일반주점·호프(6,041원) 순이었다. 채용공고수가 가장 많은 ‘음식점’의 시급은 5,959원으로 20개 업종 평균시급 5,990원보다도 31원이 낮았다.

반대로 편의점이 5,397원(20위)으로 가장 낮았고, 베이커리 5,433원(19위), 아이스크림·생과일 5,446원(18위) 등이 가장 낮은 시급을 받고 있는 직종으로 조사됐다.

You may also read!

안성시 땅꺼짐(싱크홀) 예방 총력, 지하 공사장 안전관리 강화

안성시는 최근 서울특별시 강동구와 경기도 광명시에서 발생한 대규모 땅꺼짐(싱크홀) 사고와 관련해 시민 안전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지반침하 예방을 위한 정밀 탐사와 지하시설물 점검을 대폭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반침하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고 지반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다.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안성시는 올해 차량 통행이 많은 도심 지역 도로 100km 구간을 대상으로 지표 투과 레이더(GPR) 장비를 활용한 정밀 공동 탐사를 실시한다. 지표 투과 레이더(GPR) 탐사는 지하에 숨겨진 공동이나 빈 공간을 비파괴 방식으로 찾아내는 기술로, 사고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시는 2023년부터 지하 시설물 매설 구간 총 188.5km에 대해 연차적으로 지표 투과 레이더(GPR) 탐사를 진행 중이며, 지금까지 총 63곳에서 공동을 발견해 복구를 완료했다. 내년에는 농어촌도로 구간 88.5km에 대해서도 탐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특히 도심지역뿐 아니라 외곽지역으로까지 탐사 범위를 확대해 지반침하 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노후 지하시설물에 대한 안전 관리도 대폭 강화된다. 시는 기존 연 1회 실시하던 상・하수도, 가스관, 전력관 등 주요 지하시설물에 대한 안전 점검을 연 2회로 확대하여 추진한다. 또한 터널 굴착 등 대형 지하 공사현장에 대한 특별 점검도 강화할 예정이다. 지반 안전 관리를 통해 안성시는 도로와 지하시설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시민 불안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최근 발생한 땅꺼짐(싱크홀) 사고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된 문제”라며 “안성시는 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전방위적 점검과 대응 체계를 확대하고 있으며, 시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오경섭 기자

Read More...

시청소년재단, 청소년정책 대학생 서포터즈 힘차게 발족

평택시청소년재단, 청소년정책 대학생 서포터즈 힘차게 발족 (재)평택시청소년재단은 지난 4월 25일 평택시청소년문화센터에서 청소년정책 대학생 서포터즈 단원 13명을 위촉했다. 청소년정책 대학생

Read More...

용인특례시, 경기도 주관 ‘사회혁신형 스마트팜 시범사업’ 공모 선정

– 처인구 양지면에 방치된 가방공장 근로자 기숙사 건물 활용…11억원 투입해 스마트팜 조성 – – 도시재생·청년 일자리 창출, 어르신 체험

Read More...

Mobile Sliding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