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빅데이터 분석 ‘임신성 당뇨병’ 최근 9년간 5.8배 증가

In youtube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임신 전 비만 및 임신 중 ‘임신성 당뇨병’이 출산 후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출산 여성 중 임신 중에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료를 받은 여성은 2003년 1만9,799명에서 2012년 11만5,646명으로 5.8배 늘었고, 이는 2003년 4.8%에서 2012년 25.4%로 증가한 수치다.

2004년에 첫아이를 출산한 여성 중 임신 전에 공단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을 받은 5만3,331명을 대상으로 산전 비만 및 임신성 당뇨병 유무에 따라 출산 후 8년 이내 당뇨병 발생여부를 분석한 결과, 임신 전 비만 여성(체질량지수(BMI) 25이상)이 첫 임신에서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한 경우, 출산 후 8년 이내에 23.8%에서 당뇨병으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전 비만 여성이 임신성 당뇨병이 있는 경우, 임신 전 정상체중이고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하지 않은 여성보다 출산 후 당뇨병 발생 위험(HR)은 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임신 전에 비만한 여성의 경우,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출산 후 당뇨병으로 진행될 위험(HR)은 2.8배였고, 이는 정상체중의 여성이 임신성 당뇨병 진료를 받은 경우 출산 후 당뇨병이 발생할 위험(HR 2.3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만이 출산 후 당뇨병 발생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고려대 구로병원 조금준 교수는 “이는 산전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보여 주는 결과로써, 임신 전 비만한 여성은 임신 시 임신성 당뇨병 위험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출산 후 당뇨병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산전 비만관리가 필요하다”면서 “특히, 지역사회 산부인과 병(의)원에서 적극적인 산전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유승현 건강상담센터장은 “공단은 임신성 당뇨병 관리를 위하여 대한당뇨병학회와 공동으로 의학, 간호, 영양 등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운영하여 콘텐츠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며, 우선적으로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임신성 당뇨병 임신부를 대상으로 ‘임신성 당뇨병 통합관리프로그램’을 10월말부터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양찬희 출산정책과장은 “우리나라의 저출산 및 고령 임산부가 증가하는 현실에서 건강한 산모와 출생아를 위하여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비만관리 등 적극적인 산전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You may also read!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안성시 자전거 지도」 홈페이지 게시

안성시는 시민들의 안전하고 편리한 자전거 이용을 위해 「안성시 자전거 지도」를 제작하여 시청 누리집에 게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자전거 지도에는 자전거 상식 및 안전 수칙, 안성시 자전거 보험 등 시민들이 자전거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특히 인쇄물로 배부되는 방식 대신 누리집에 게시하여, 시민 누구나 컴퓨터 또는 휴대 전화를 이용하여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지도를 내려받아 필요할 때 언제든 활용할 수 있다. 안성시 관계자는 “자전거는 친환경 교통수단이자 시민 건강을 위한 중요한 이동 수단이며 이번 자전거 지도를 통해 안전하고 즐겁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안성시 자전거 지도」는 안성시청 누리집(안성소개→안성지도→자전거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경섭 기자

Read More...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 안전, 편의 높인다 …준비상황 점검

– 축제장 안전점검 및 안전관리 계획 등 점검 천안시가 오는 24일부터 닷새간 천안시와 천안종합운동장 일원에서 열리는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의 성공

Read More...

평택시, 정부․지자체 최초 ‘AI시장’과 함께 미래 비전 선포

평택시, 정부․지자체 최초 ‘AI시장’과 함께 미래 비전 선포 AI와 반도체로 미래도시 도약, 기술로써 시민과 혁신을 잇는 길을 찾다 평택시(시장

Read More...

Mobile Sliding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