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 운동, 통통족·빼빼족 모두에게 효과적

In youtube

걷기 좋은 계절, 답답한 콘크리트 벽에 둘러 쌓여있다 잠시 시간을 내 야외에 나와 걷기만 해도 몸과 마음이 건강해지는 느낌이 든다. 걷기는 남녀노소 모두에게 좋은 운동이자 살이 쪄서 고민인 통통족에게도, 또 너무 말라서 고민인 빼빼족에게도 도움이 되는 운동이다. 단 자신의 체력과 몸상태를 고려해 실시하는 게 효과적이다.

통통족의 걷기 – 지방을 효과적으로 태워 다이어트 효과

다이어트를 위해선 식이요법도 중요하지만 걷기와 같은 유산소운동을 통해 지방을 태워주면 요요현상도 피하고 살이 잘 찌지 않는 체질로 바뀔 수 있다. 언뜻 보기엔 운동 강도가 더 높은 달리기나 강도 높은 근력운동이 몸을 혹사해 살이 잘 빠질 것처럼 보이나 그러한 운동은 도중에 지치기 쉬워 오래 지속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지방이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쓰이는 시점도 유산소운동을 시작한 뒤 15분이 지난 후부터이므로 걷기와 같은 저강도 운동을 꾸준히 실시하는 게 더 유리하다. 걷기의 또 다른 장점 중 하나는 자기 체중을 이용한 안전한 운동이라는 점이다. 과체중 탓에 관절이 약해진 경우에도 큰 무리 없이 실시가 가능하다.

빼빼족의 걷기 – 소화기능 개선과 스트레스 해소 효과

말라서 고민인 사람들의 걷기는 비만인 사람들의 걷기와는 그 목적과 방법이 다르다. 마른 사람이 걷기 운동을 하면 식욕을 올리고 소화력을 향상시켜주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평소 입맛이 없어서 끼니를 거르거나 숟가락을 일찍 내려놓게 되는 경우, 조금만 먹어도 배가 더부룩하고 소화가 잘 안 되는 경우라면 걷기 운동만으로도 이를 개선할 수 있어 먹는 양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걷기는 심신을 안정시켜주고 스트레스도 해소해 주는 효과가 있다. 스트레스는 소화기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평소 작은 일에도 예민해지기 쉬운 마른 사람에게는 스트레스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단, 걷기를 너무 강도 높게 실시할 경우 피로감이 가중돼 살이 더 빠질 수 있으므로 몸의 컨디션에 맞추어 실시해야 한다.

약산한의원 체질개선클리닉 김영두 원장은 “운동은 너무 거창하게 생각할 게 아니라 ‘놀이’의 개념으로 생각하고 즐겁게, 편하게 접근하는 게 중요하다. 운동은 꾸준한 실천이 가장 중요한데 운동 자체가 스트레스가 되면 지속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걷기는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좋은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단 처음부터 욕심을 내지 말고 약간 힘이 들 정도로만 한 뒤 몸이 적응되면 차츰 시간과 강도를 높여나가면 된다”고 조언했다.

You may also read!

평택시, 이충 골목형상점가 문화축제 개최

평택시, 이충 골목형상점가 문화축제 개최 공모사업 통해 골목상권 활성화 추진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지난 21일 이충동에 있는 이충 골목형상점가에서 다채로운

Read More...

용인특례시, 고액 체납자 가택수색으로 1억여원 징수

용인특례시, 고액 체납자 가택수색으로 1억여원 징수 – 9일부터 2주간 고가 주택 거주자 대상으로 강도 높은 징수 활동… 현금다발 5000만원,

Read More...

안성시, 2025년 상반기 농어민 기회소득 55억 원 지급

안성시는 관내 농업인 15,932명에게 2025년 상반기 농어민 기회소득 총 55억 2190만 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농어민 기회소득은 농어민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를 보상하기 위한 정책으로, 기존 농민기본소득 지원을 확대해 올해부터 본격 시행 중이다. 이번 상반기에는 만 50세 미만 청년 농어민, 5년 이내 귀농어민, 농어업 관련 인증서를 취득한 환경 농어민 1,299명에게 최대 90만 원을, 일반 농어민 14,633명에게는 최대 3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했다. 해당 지역화폐는 지급일로부터 180일 이내에 관내 소상공인 점포와 농축협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반기에 신청하지 못한 농어민은 오는 9월 15일부터 10월 17일까지 추가 신청할 수 있으며, 요건을 충족하면 상반기분도 소급 지급받을 수 있다. 이미 상반기에 지급받은 농어민은 별도 신청 없이 하반기에도 자동 지급되며, 12월 중 1인당 30만 원에서 최대 90만 원까지 지급될 예정이다. 손승수 안성시 농업정책과장은 “기회소득은 농어민의 안정적인 생계 기반 마련은 물론, 농촌 인구 유입과 지역경제 회복에도 긍정적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세한 사항은 안성시청 농업정책과(031-678-2528)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오경섭 기자

Read More...

Mobile Sliding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