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저공해차 의무구매비율 30%에서 50%로 강화

In Main Menu, 부산

환경부(장관 조경규)는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의 저공해차* 의무구매비율을 30%에서 50%로 강화하고 경유차 저공해차의 배출허용기준을 휘발유차와 동일하게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을 11월 17일 개정·공포한다고 밝혔다.

* 저공해차: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없는 전기·수소차 또는 일반 제작차 보다 오염물질을 적게 배출하는 하이브리드차 또는 내연기관차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환경부는 2017년부터 수도권 소재 231개 행정·공공기관의 저공해차 의무구매비율을 현행 30%에서 50%로 상향 조정하여 저공해차 보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저공해차 의무구매비율 50% 확대는 공공기관이 저공해차 구매에 솔선수범하기 위해 올해 6월 3일 정부 합동으로 발표한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에 포함되었던 사안 중 하나다.

환경부는 저공해차 의무구매비율 확대를 정착시키기 위해 수도권 소재 행정·공공기관이 저공해차 의무구매를 위반할 경우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하는 내용의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개정도 추진하고 있다.

※ 수도권대기환경청이 수도권 소재 156개 기관을 대상으로 “2015년도 저공해차 구매현황”을 조사한 결과, 저공해차 의무구매비율인 30%를 달성한 기관은 33.9%인 53개 기관으로 나타남

아울러, 12월 1일부터는 경유차 저공해차의 질소산화물 기준이 0.06g/km에서 0.019g/km로 3.1배 강화되며, 입자상물질 기준은 0.0045g/km에서 0.002g/km로 2.2배 강화된다.

경유차 저공해차의 배출허용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사실상 경유차는 저공해차 인증을 받기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일반적으로 휘발유차는 저압축비(8∼11 : 1)의 불꽃점화방식의 엔진으로 질소산화물의 기준 충족이 가능하지만 경유차는 고압축비의 자기착화 방식(15∼22 : 1)의 엔진을 사용해 질소산화물의 기준을 충족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홍동곤 환경부 교통환경과장은 “이번 시행규칙 개정으로 저공해차 보급의 확대와 기준이 강화되어 수송부문 미세먼지 저감에 기여할 것이다”고 밝혔다.

You may also read!

용인특례시, “세종포천고속도로 동용인IC(가칭) 연결허가 국토교통부 최종 승인 받아”

– 국토교통부 23일 승인…총 사업비 936억 전액 ‘국제물류4.0’ 사업자 부담 – – 2028년 착공, 2029년 하반기 완공 목표… 처인구

Read More...

평택항 마라톤대회, 22회째 성황리 마무리

평택항 마라톤대회, 22회째 성황리 마무리 평택시(시장 정장선)가 지난 19일 포승읍 엠에스로지스틱 일원에서 열린 ‘2025년 평택항 마라톤대회’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Read More...

천안시, 오토바이 등 소음유발 차량 합동단속

– 배기소음 측정, 경음기 추가 부착 및 소음기 탈거 여부 등 단속 천안시는 천안동남경찰서와 함께 오토바이 등 운행차를 대상으로

Read More...

Mobile Sliding Menu